프로그래밍 언어/파이썬

[파이썬 기초] 자료형 알아보기

곡마일장 2021. 8. 19. 21:20

오늘은 파이썬 언어에서의 자료형을 알아보겠습니다.

자료형은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요

먼저 첫번째로 숫자입니다.

 

1. 숫자형

"number1 =0" 에서 numbe1은 숫자이자 정수인 0의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자료형은 정수형입니다.

"number2 =3.14" 에서 number2는 숫자이자 소수점이 존재하는 실수인 3.14의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

자료형은 정수형입니다.

"number3=2+4i"에서 number3은 숫자이자 복소수인 2+4i의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 

자료형은 복소수형입니다.

이러한 변수들의 자료형을 알기 위해서 type()함수를 이용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.

type(변수명)을 이용하면 변수의 자료형을 쉽게 알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2. 시퀀스형(Sequence)

"string1 ="가나다"에서 string1는 문자열 "가나다"의 값을 저장하기 때문에 자료형은 문자열 str입니다.

"string2 =["바나나","알러지","원숭이"]" 에서 string2는 리스트(list)입니다.

"string3=("하룻강아지","범","무서운줄모른다.")" 에서 string3는 튜플(tuple)입니다.

 

리스트와 튜플의 공통점은 순서와 중복이 가능하나, 차이점으로는 리스트는 변경이 가능하지만 

튜플은 요소들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.

순서가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슬라이싱(slicing)과 인덱싱(indexing)이 가능합니다.

 

 

이 외에도 셋(Set)이나 딕셔너리(dictionary)와 같은 시퀀스 자료형도 존재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3. 불형

 

"boolean1=3>0" 에서 boolean1는 불값인 True 값을 저장하고 자료형은 bool입니다.

"boolean2=3<0" 에서 boolean2는 불값인 False 값을 저장하고 자료형은 bool입니다.